본문 바로가기
텃밭가꾸기

감자 심는시기 재배방법,감자 병충해 방제

by farm news 2022. 2. 5.

감자 재배방법,감자 심는시기와 방법,감자 병충해 방제

감자 재배방법

감자 생육환경

1) 온 도

○ 감자는 생육적온이 낮은 호냉성 작물로 싹은 5℃부터 자라며

○ 생육적온은 14 ~ 23℃

○ 괴경의 비대는 주간 23 ~ 24℃, 야간 10 ~ 14℃일때 가장 좋으므로 우라나라의 감자 생육적기는 4~5월과 9~10월로 주ㆍ야간 온도차이가 커 괴경비대에 유리

2) 일 조 량

○ 일조가 많아야 동화작용이 왕성하게 되고, 잎과 줄기의 조직이 견고해지며 육질이 두꺼워지고 전분함량이 높아져 성숙을 촉진 시킨다

○ 일조량이 부족하여 잎과 줄기의 웃자람이 심한 지역에서는 질소시비량을 감소시켜 소모성 웃자람을 줄여주는 것이 일조부족에 대한 방법이다

※ 여름재배 6 ~ 7월 강우로 인해 일조가 부족하여 수량 감소 원인이 되고 있다

3) 강 수 량

○ 감자는 비교적 건조한 것이 생육에 유리하며 침수에 약한 작물이다

○ 전 생육기간 필요 강수량은 300 ~ 400mm으로

○ 생육기간 중 가장 수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는

괴경 비대기와 싹 출현기로 이 시기에는 가뭄시 관수가 필요하며

○ 괴경 성숙기 (잎ㆍ줄기 황변기 ~ 수확기)는 다소 건조하게 관리해야한다

4) 토 양

○ 작토층이 깊고 유기물이 풍부하며 배수와 통기가 양호한 사양토, 양토가 좋다

○ 토양산도 : pH 5.0 ~ 6.0

※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더뎅이병 발생이 증가되고

산성토양에서는 흑지병 발생이 많음

 

생장단계별 관리방법

1) 파종후부터 출현기

○ 토양온도를 상승시키고 수분관리가 중요

- 파종직전 경운ㆍ정지하고 이랑을 만든 다음 즉시 파종하고 토양수분이 증발하기 전 비닐로 피복

- 피복 후 빗물이 스며들 수 있도록 드문드문 구멍을 뚫어준다

- 봄재배 수미의 경우 파종 후 40일 이후에 출현하는데

멀칭재배시 28일 정도면 출현이 되므로 재배기간이 12일 정도 연장되어 수량증수 및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다.

 

 

2) 잎이 필 때

○ 싹이 출현한 후에는 조기에 북주기를 실시

- 싹이 출현하여 잎이 필 때는 복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싹의 첫째마디 가까이서 발생 된다

- 복지의 발생은 파종 깊이에 따라 달라지므로 깊게 파종하거나 조기에 북주기를 할수록 가뭄피해를 줄이고 괴경수를 증가시켜 수량을 올릴 수 있다

3) 괴경 형성기

○ 생장점에서 꽃봉오리가 생길때부터 꽃이 피기 전까지로(싹이 출현하여 경장이 20~25cm 자랐을 때)

○ 주당 괴경수는 품종의 고유특성으로 유전적인 영향을 많이 받으나 씨감자의 전처리(산광최아, 육아 등), 줄기수의 증감,시비, 배토 등 재배관리에 따라 괴경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4) 괴경 비대기

○ 개화기 ~ 잎ㆍ줄기 황변 되는 시기로

○ 충분한 토양수분 유지와

○ 주야간 온도차가 큰 시기에 괴경 비대기가 도달될 수 있도록 파종기 조절하고

○ 초기생육 촉진하여 기온이 너무 높지 않은 시기에 괴경비대기에 도달하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5) 괴경 성숙기

○ 토양수분을 다소 건조하게 관리하며 장마 이전에 수확

- 토양수분이 적어야 껍질의 굳어짐이 좋아 기계적 상처가 감소되고 저장에 안전하다

- 괴경이 완숙되면 복지와 이탈이 잘되어 수확작업이 용이해 진다

< 지상부 생육과 괴경의 발달단계 >

구 분
괴경 형성기
괴경 비대기
괴경 성숙기
꽃의 발달
꽃봉오리 발달
꽃이 핀다
꽃이 떨어짐
잎의 형태
직립성
얇아지고 개장 연록색으로 변함
윤기가 없고 아래쪽으로 낙엽
잎의 색깔
농록색
아랫잎이 황화됨 직립상태에서 누우며
연록색으로 퇴색 되고 황화됨
줄 기
직립, 곁눈발생 없음
원줄기 생장이 멈추고 곁가지가 발생
색깔이 퇴색되고 잎수가 적어짐

심는(파종)시기

남부해안 지방 심는(파종)시기 : 2월 중순~3월 상순 (수확시기) 6월 상~중순

 

남부내륙지방 심는(파종)시기 : 3월 상순~3월 중순 (수확시기) 6월 중~하순

중부평야지대 심는(파종)시기 : 3월 하순~4월 상순 (수확시기) 6월 하순~7월 상순

서리를 피할 수 있는 3월 중순경 심고 발아한 후에는 싹이 10cm 쯤 자랐을 때 싹을 1-2개만 남겨서 키우면 튼실한 감자를 수확 할 수 있으며 수확은 7월 준순경 마친다.(지역에 따라 다름)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 사이에 심은 것은 10월에 수확한다.

○ 8월 상순에 정식 (남부지방은 8월 상순에 최아 후 8월 하순에 직파 정식)

감자 재배방법

1) 씨감자 선택

○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지 않은 건전한 종자 선택

○ 휴면이 타파되어 있을 것

- 대지 : 수확 후 60일 이상

- 수미 : 수확 후 90일 이상

2) 종서소독

○ 약 제 : 메로닐 분제, 토로스 분제, 다이센엠 등

○ 처리방법 : 감자 표면에 분의처리 - 20kg 상자당 100g 정도

 

3) 산광(반그늘)최아

○ 초기생육이 촉진되어 덩이줄기의 착생과 비대가 빠름

○ 산광최아 적온 : 15~20℃ (25℃ 이상 고온지속시 흑색심부병 발생)

○ 산광최아 적정기간 : 수미 25일, 대지 35일

○ 산광최아시 싹길이 : 수미 10mm, 대지 10~20mm내외

 

4) 씨감자 자르기

○ 정아부에서 기부쪽으로 눈이 1개 이상

○ 절단시기 : 최소한 파종 2~3일전 절단

○ 절단칼은 여러개 준비하여 끓는 물에 소독하면서 사용

○ 절단면 치유

- 절단된 씨감자를 통풍이 잘 되는 상자에 담아 비닐하우스내에 옮겨놓고 (온도 14~15℃, 습도 80~85%) 거적에 물을 약간 적시어 4~5일 상자를 덮어 놓은 후 2~3일 동안 거적을 걷어내어 산광(반그늘)처리하여 싹을 튼튼하게 한 후 파종

5) 시비량

○ N-P-K : 10-10-12kg/10a 정도 (봄재배 기준)

※ 단비로 줄 경우 : 요소 23kg, 용과린 50kg, 염화가리 20kg

○ 퇴 비 : 1,500~2,000kg/10a

○ 토양소독 : 비료와 토양살충제 혼합 전면살포

6) 재식거리

○ 이랑폭 60~75cm (2줄재배시 40~45cm), 주간거리 20~30cm

- 가을재배와 겨울시설 재배시에는 봄재배 보다 약간 밀식

※ 비닐은 투명비닐이 가장 좋으며 흑색비닐은 잡초방제 효과는

좋으나 지온상승면에서 투명비닐보다 불리함

7) 계절별 심는(파종)시기

○ 봄 재 배 : 2월하순 ~ 3월하순 - 늦서리를 피하여 파종

○ 가을재배 : 8월중순 ~ 8월하순 - 고온기를 피하여 파종

○ 겨울재배 : 12월중순 ~ 1월중순 - 종서의 휴면을 타파하여 파종

※ 겨울재배 파종시 휴면기간 단축요령

- 18~25℃ 따뜻한 곳에 저장한 후 파종 20~30일전 통기가 잘되는 상자에 담아 산광최아

○ 파 종 량 : 150kg/10a(1쪽의 무게 30 ~ 40g)

8) 잡초방제

○ 토양수분 있는 상태에서 제초제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

○ 비닐멀칭의 경우 감자 파종 직후 살포 가능한 제초제 선택살포

 

<감자 비닐멀칭재배시 제초제 사용효과>

사용제초제별
무 처 리
메리진수화제
펜디유제
알라유제
코달입제
방 제 가(%) 잡초중(g/㎡)
0 61.5
98.4 1.0
99.8 0.1
92.3 4.7
99.9 0.1

※ 알라유제 : 약해발생

<제초제 사용요령>

잡초 종류
농 약 품 목 명(상품명)
사 용 적 기
사용 약량 (물20ℓ)
10a(300평)당 사용량
약 량
살포량
일년생 잡초
알라유제(라쏘,알라) 알라입제(라쏘,알라) 파미드수화제 (데브리놀) 메리진수화제(쎈코)
파종후 3~4일이내 〃 파종후3일이내 또는 이식 2~3일전 감자를 심고 복토직후부터 감자싹이 나오기전까지
40㎖ - 50g 20g
200㎖ 3~5㎏ 300g 100g
100ℓ - 120ℓ 100ℓ
프로린수화제 (푸로메트렉스 프로린) 니트린수화제(프라나빈) 메토프유제(코달)
파종복토후 3일이내 파종복토 후 파종복토직후
60g 60g 60㎖
300g 300g 300㎖
100ℓ 200ℓ 100ℓ
옥사디아존․펜디유제 (해도지) 메토라크롤, 프로메트린 입제(듀알)
파종복토직후 〃
60㎖ -
300㎖ 4㎏
100ℓ -
펜디, 리누론유제(파트너) 에탈푸루라린유제(쏘나란) 펜디, 리누론수화제(파트너) 펜디입제(스톰프)
파종복토후3~4일 이내 〃 〃 〃
800㎖ 60㎖ 60g -
400㎖ 300㎖ 300g 3㎏
100ℓ 100ℓ 100ℓ -
일년생 화본과 및 광엽 잡초
펜디유제(스톰프)
파종복토 직후 또는 정식후 3~4일 이내
40㎖
200㎖
100ℓ
일년생 화본과 잡초
세톡시딤유제(나브)
잡초 2~4엽기
25㎖
150㎖
120ℓ
작물 건조
다이코액제(레그론)
농가관행수확 10일전
100㎖
500㎖
100ℓ
맹아 억제제
크로르프로팜유제(해말근)
수확후 저장직전 침지처리
222㎖
-
약액이 골고루 묻도록 침지

심는방법

심기 전에 물을 충분히 준 다음 감자의 자른 부위가 밑으로 가고 눈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심은 후 6-8cm 정도 복토하며 추운지방에서는 그 위에 비닐이나 짚 등으로 멀칭을 해준다.

심은 후 보름정도 되면 싹이 10cm 정도 되는데 그 중에 충실한 싹을 하나 내지 둘만 남기고 따 버린다.

 

Tip : 감자와 감자 사이에 거름을 한 주먹씩 놓으면 감자싹이 튼튼하게 자란다.

감자 심는 간격을 30Cm 이상으로 넓게 하고 그 사이에 강낭콩을 심으면 강낭콩이 질소를 고정시켜 감자 생육에 도움을 준다.

 

감자의 주요 병충해 방제

1) 역 병

○ 발병조건 : 주로 생육중기 비가 많거나 안개가 잦아 포장이 습한 경우, 지나친 관수

○ 피해증상 : 잎, 줄기, 괴경에 곰팡이 균 번식

- 잎 뒷면, 줄기 등에 백색 섬모상 균사번식, 갈변 또는 흑변

- 괴경은 표피변색 및 부패

○ 방 제 법

- 건전종자 사용, 배수관리, 윤작 등

- 재식거리 넓게 하여 통풍 원활하게 해주고

- 충분한 배토는 병포자가 괴경에 도달하는데 물리적인 장벽이 되어 접근 지연 효과

- 약제 살포는 발생전 예방약제는 7일 간격으로 살포

발생후에는 침투성 살균제 7 ~ 10일 간격으로 살포

- 적용약제 : 발생전 - 디메쏘모르프, 발생후 - 에타복삼

2) 흑지병 (검은무늬썩음병)

○ 발병조건 : 토양내 수분함량이 높고 저온일 때, 감염종자 산성토양에서 많이 발생

○ 피해증상

- 괴경표면에 납작하거나 부정형의 암갈색 균핵이 생김

- 어린줄기 감염시 줄기에 검은띠와 병반아래 측아 형성

○ 방 제 법

- 3년 이상 비기주 작물과 윤작

- 저항성 품종 또는 무병 씨감자 선택, 배수관리

 

3) 절편부패병

○ 발병조건 : 고온, 건조, 직사광선 노출, 씨감자 저장 환경불량

○ 피해증상 : 절단면 부패, 갈색 또는 흑색반점이 생기고 짓무름 ○ 방 제 법 : 절단면 상처치유(절단면 태양광선 노출 안되도록), 종서소독

4) 더뎅이병 (창가병)

○ 발병조건 : 건조 토양, 알카리성 토양에서 발생, 미숙퇴비시용시, 불량종서, 연작

○ 피해증상 : 감자표면의 코르크화, 돌출 등

○ 방 제 법

- 건전종자 사용, 윤작

- 높은 토양습도 유지 및 산도 적정수준 유지위해 석회시용 절제

5) 청고병

○ 발병조건 : 6 ~ 7월경 잎과 줄기가 번무했을 때 발생

- 고온 다우인 경우 지상부의 상처가 발생의 직접적 원인

○ 피해증상

- 잎․줄기가 한낮에 시들었다가 회복되는 증상을 수일간 반복되다가 회복되지 않고 포기 전체 말라죽음

- 줄기를 잘라보면 도관부가 갈변하고 희고 걸쭉한 즙액이 나옴

○ 방제법

- 산성토양에서 발생하므로 10a당 40 ~ 60kg의 유황을 파종 3 ~ 4주전에 살포, 비기주 작물과 윤작

6) 복숭아혹진딧물

○ 생 태 : 알로 월동한 후 5월상순경부터 하위엽 주로 가해 - 직접 피해보다 각종 바이러스를 매개, 간접 피해 심각

○ 방제법 : 파종전 진딧물약(입제)과 토양살충제 혼화처리- 최초 비래이후 7 ~ 10일 간격으로 경엽처리제 수회 살포 약제는 중복되지 않게 교호 살포하여 저항성 유발 방지

 

7) 방아벌레

○ 생 태 : 토양온도가 18℃에 이르면 지하에서 월동 중이던 유충이 감자 괴경속으로 파고 들어감

○ 방제법

- 토양 경운전 토양살충제 살포, 월동전 토양경운

재배기간중 1㎡당 4마리이상 발견시 파종시와 다른 살충제 살포

 

감자의 재해 및 생리장해

1) 재해

○ 한해

- 수분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 : 덩이줄기 비대기

- 수분 요구가 적은 시기 : 성숙기

- 덩이줄기 비대 초기까지 관수를 끝내도록 해야 품질이 향상되며 관수후에는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

※ 괴경형성기 이후부터 한달동안 계속 적습상태 유지해야 더뎅이병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 일소

- 괴경이 빛의 노출에 의해 녹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는 증상

- 생육중 배토 깊게 하고 고엽제 처리후 노출 괴경 복토

 

○ 서리피해 및 동해

- 서리로 인해 맹아의 정부가 갈색 또는 흑색으로 변하여 고사 보통 1주일 정도 생육이 지연되어 수량 감소

- 영하 1.5 ~ 3℃이하에서 동해

동해부위는 연화되어 회색으로 보임, 괴경내 흑색반점

일광하에서 즙액이 나오고 육색은 담홍색으로 변함

2) 생리장해

○ 갈색 심부

- 육질부에 갈색반점이 생기며 심하면 흑색심부와 유사 증상

- 가뭄시 사질토에서 발생 : 토양수분부족과 기온상승이 원인

→ 퇴비를 시비기준보다 증시, 심경으로 토양보수력 향상

○ 흑색 심부

- 괴경의 일부가 흑색으로 변색

- 산소결핍에 의한 호흡장해 : 고온의 밀폐된 저장고 저장시, 욕광최아시 고온 지속, 저온에서 고온으로 갑자기 변할 때

→ 저장 및 운송시 환기 및 적정 저장온도 유지(4℃)

○ 중심 공동

- 괴경 중심에 공동 발생 및 변색

- 괴경비대가 급속, 칼륨․칼슘 결핍

→ 적정 재식거리 파종, 적정 습도 유지, 칼리 웃거름 시용

○ 열개

- 덩이줄기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

- 내부압력, 바이러스, 수확시 마찰에 의하여 열개

→ 적당한 수분공급, 토양온도 높을 때 수확

○ 2차생장

- 돌출한 눈(옆눈, 끝눈), 2차 괴경

- 괴경형성 지연, 줄기생장과 복지신장 촉진의 모든 조건시(고온, 한발, 장일, 추비)

→ 적정 시비 및 관수, 수확기 고온 지속시 조기수확

재배관리

감자를 심은 후 비닐멀칭재배를 하면 지하 5cm에서의 평균 2-3도 정도의 지온 상승효과가 있어 추운지방에서는 멀칭하는 것이 좋다.

10cm 이상 자라면 괭이나 호미 등을 이용하여 고랑의 흙을 긁어 감자 주변으로 올려주는 흙돋우기를 하고 또 2 주후에 다시 한번 흙돋우기를 한다. 감자 꽃망울이 맺힐 때 5~6cm 을 준다. 감자 알이 잘 든다.

한번 할때마다 10cm 정도로 덮어 올려 주는 것이 좋다.

흙돋우기는 제초작업을 겸해서 하는 것으로 감자가 햇빛에 녹화되는 것을 막으며 통기성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토양이 배수가 잘 되지 않을 경우 흙돋우기를 하지 말고 배수로를 깊게 파서 배수를 잘 되게 한다.

초목회를 병이 생기기 전에 3회 살포한다. 잎에 반점이 생기고 흰 곰팡이가 생기는 병은 개화 전에 초목회를 살포하면 막을 수 있다.

감자 꽃은 영양분이 땅속 감자에 가도록 피기 전에 모두 제거해 준다.

 

수확시기 및 저장방법

잎, 줄기가 누렇게 되면 즉시수확 하여야한다.

그보다 늦으면 전분함량이 줄어들며 잎줄기가 마른 후 밭에 수확하지 않으면 고온으로 썩을 수도 있다.

맑은 날을 택하여 수확하고 겉 껍질이 마를 정도로 밭에 두었다가 거둬 들인다.

저장하기 전에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1주일 정도 말려 상처를 아물게 한다.

보통 저장에 적합한 온도는 6-8도이고 습도는 70-80%인데 8도 이상에서는 싹이 난다.

반응형